1. 밀폐공간 작업
밀폐공간의 정의
밀폐공간이란 근로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환기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산소결핍, 유해가스
로 인한 건강장해와 인화성물질에 의한 화재·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를 말함
※ 밀폐공간 작업장소는 우물 · 수직갱 · 터널 · 잠함 · 핏트 · 암거 · 맨홀 · 탱크 · 반응탑 · 정화조 · 침전조 · 집수조 등을 말함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3)
산소결핍의 정의
산소결핍이란 “‚공기중의 산소농도가 18%미만인 상태”‚이고,
산소결핍증이란 “‚산소가 결핍된 공기를 들여 마심으로써 생기
는 증상”을 말한다.
유해가스의 정의
밀폐공간에서 메탄, 탄산가스, 황화수소 등의 유해 물질이 가스 상태로 공기 중에 발생되는 것
- 메탄, 에탄, 부탄
- 헬륨, 알곤, 질소, 프레온, 탄산가스 등의 불활성기체
- 일산화탄소
- 황화수소
- 기타 반응기, 탱크 등의 내부 화학물질
밀폐공간내 적정공기
산소농도의 범위가 18% 이상 23.5% 미만, 탄산가스의 농도 1.5%미만, 황화수소의 농도 10ppm 미만 수준의 공기
2. 밀폐공간 재해발생원인 및 장소
공기 중 산소소모
- 물질의 산화작용
저장용 탱크 등 소재의 산화, 저장 또는 운반 물질의 산화, 건성유가 산패되면 공기 중의 산소가 빠르게 감소.
▶ 발생장소
- 저장용 탱크 등 소재의 산화
- 저장 또는 운반물질의 산화
- 건성유의 산패
미생물의 호흡작용
미생물이 산소 소비시 이산화탄소, 메탄, 황화수소 등의 유해가스가 발생되며 이런 미생물들이 존재하는 작업장에서는 근로자들이 산소결핍증이나 유해가스 중독에 걸릴 가능성이 높음
▶ 발생장소
- 미생물의 증식
- 유기물의 부패
- 미생물의 발효(탱크, 항온실 내부)
- 식물, 곡물, 목재 등의 호흡작용(사일로, 창고, 선창 등)
기타
각종 탱크나 밀폐된 방(냉장실, 냉동실 등 내부) 및 지하수에 용존 산소가 적을 때 공기 중의 산소를 용해하여 산소결핍이 발생하기도 함
3. 질식재해 발생현황 및 사례
○ 매년 여름철만 되면 상·하수도 맨홀이나 아파트 오·폐수 처리장, 저장탱크 등 밀폐공간에서 산소결핍이나 유해가스 중독으로 인한 질식재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 최근 8년간 (‘00~’07) 질식 재해로 인해 163명이 사망했으며, 여름철 (6월~8월)에 전체사망자의 40.4%인 66명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 특히, 사망유형별 분석에서는 전체 사망자 163명 중 24명(14.7%)이 밀폐공간 작업 중에 쓰러진 동료근로자를 구조하기 위해 들어갔다가 목숨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 여름철 질식재해 예방을 위한 3대 안전수칙 ▶ 작업전·작업중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측정 ▶ 작업전·작업중 환기실시 ▶ 밀폐공간 구조작업시 보호장비 착용
○ 한편, 밀폐공간 질식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3대 안전수칙은 물론 구조방법 및 응급처치 요령을 습득하고 감시인을 배치하는 등 안전조치를 취해야 한다.
4. 밀폐공간 재해예방 대책
❖ 밀폐공간 작업안전 3대 수칙
1. 작업전·작업중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2. 작업전·작업중 환기실시3. 밀폐공간 구조작업시 보호장비 착용
❖ 질식재해예방 대책○ 밀폐공간 등 산소결핍 우려 공간 내, 작업 시 작업시작전과 작업
중에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환기 실시,
공기호흡기 등 충분한 안전조치를 취한 후 작업 실시
○ 산소결핍위험 및 유해가스 발생 작업 시에는 송풍기와 배풍기를 이용, 충분한 환기를 실시한 뒤
작업실시, 유해가스 등이 계속적으로 발생할 우려가있는 경우에는 작업 중에도 지속적으로 환기 실시
○ 현장내부에 대해 환기를 실시하기가 불가능 할
경우에는 작업자에게 공기호흡기 또는 송기마스크 등
호흡용보호구를 지급하여 착용토록 조치
○ 산소결핍 및 유해가스 발생위험이 있는 장소에서의
작업 시에는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작업 전에 작업안전
수칙, 사용하여야 할 보호구 및 장비, 사고 시 구조방법
및 응급처치 요령 등을 내용으로 하는 교육 실시
○ 산소결핍이 우려되는 밀폐공간 내부의 작업 시에는
상시 작업상황을 감시하여 이상 시 즉시 조치할 수 있는
감시인을 배치하여 1인이 단독 작업을 실시하지 않도록
조치
○ 특히 동료작업자가 질식하여 쓰러질 경우 호흡용
보호구가 없으면 직접 구조하려 하지 말고 관리감독자
또는 119구조대 등에 구조를 요청토록 교육
【밀폐공간 및 산소결핍이란?】
-「산소결핍」은 ‘공기중의 농도가 18% 미만인 상태’를 말하며 10%이하가 될 경우 의식상실, 경련, 혈압강하, 맥박수 감소를 초래하여 질식 사망하게 됨-「밀폐공간」이란 근로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환기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산소결핍,유해가스로 인한 건강장해와 인화성물질에 의한 화재·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로서 입·출구가 제한적이며, 환기가 불충분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
'지금 안전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7.보호구에 대하여 (0) | 2021.12.22 |
---|---|
6.보호구사용 으로 안전하게? 안전모,안전대,안전화등 (0) | 2021.12.22 |
4. 가스 에 안전한가? (0) | 2021.12.22 |
3. 환절기 건강관리 (0) | 2021.12.21 |
2.사업장내 안전사고예방은? (0) | 2021.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