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직업성 근골격계질환이란?
MSDs(Musculo- Skeletal Disorders)
일반적으로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반복동작 등에 의하여 병리적으로는 근육,
관절, 혈관, 신경 등에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고 이것이 누적되어 나타나는
일련의 증상’을 일컫는 말.
부자연스러운 작업자세 밑 작업환경, 작업방법에 의하여 어깨, 목, 다리, 허리, 팔,
손목 등에 피로를 유발하여 근육 및 신경 등이 쑤시고 부어오르는 증상을 말함.
근골격계 질환의 다른 표현들
누적외상성질환 CTDs(Cumulative Trauma Disorders) 반복긴장상해 RSI ( Repetitive Skeletal Disorders)
반복동작질환 RMS (Repetitive Motion Disorders) 과도한 작업장해 Overuse syndromes
미세외상 견완증후군 경견완증후군
노동부고시 단순반복작업 근로자 작업관리 지침서
“오랜 시간동안 반복되거나 지속되는 동작 또는 자세인 단순반복작업으로 기계적 스트레스가 신체에 누적되어 목.어깨.팔.팔꿈치.손목.손등의 신경.건.근 육 및 그 주변 조직에 나타나는 질환”
NIOSH(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 연구원)의 진단기준 “근골격계 부위의 통증, 쑤심, 뻣뻣함, 저림 등의 증상이 최소한 1년 이내에 발 생했고, 이전에 그 부위를 손상당한 병력이 없고, 현재의 사업장에 고용되어서 현재의 작업을 하고 있는 가운데에 증상이 발생했으며, 증세는 1주일 이상 지 속되거나 최소한 한 달에 한번이상 발생하며, 증세가 있는 관절부위에 객관적 인 육체적 이상소견이 보이는 경우”
인체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인체(human body) → 계(system) → 기관 (organ) → 조직(tissue) → 세포(cell) → 분자체(molecules) → 원자(atom) 으로 구성요소를 나우어 볼수 있다. 여기에서 계는 인체의 여러 기관을 작용 계 통별로 나누어 본 것으로 크게 골격계, 근육계, 내장기계, 소화기계, 순환기계, 신경계, 감각기계 등으로 나눈다. 이 중에서 인체의 운동이나 작업과 관련된 것 은 골격계와 근육계로 이를 합하여 근골격계라고 한다.
-근골격계는 이런 뼈와 근육, 뼈와 뼈를 연결하는 인대, 뼈와 근육을 연결하는 건, 건을 둘려써는 건초, 뼈와 다른 조직 사이에 마찰을 줄여주는 점액낭 및 신 경들로 구성된다.
- 근육 + 골격 + 건 + 건초 + 인대 + 신경 + 혈관 + 점액낭으로 구성 된다.
2.근골격계 질환 발생원인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는 원인은 특정 부위의 조직이 파괴되거나
손상을 입음 으로써 발생한다. 근육도 다른 조직과 마찬가지로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근육 세포는 가늘고 긴 섬유형태를 띠고 있다.
근육세포에는 가는 actin과 두꺼운 mosin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신경의 자극을 받으면 이 두 단백질 filament가 수축을 하여
근육운동을 하게 된다.
이 세포들이 어느 정도 일을 하 고 나면 에너지를 보충하거나 원상회복을 위하여 쉬어야 한다. 작업 강도가 그 리 세지 않은 경우에는 일을 한 세포가 쉬는 동안 다른 세포가 일을 하게 되고, 그 동안 일을 한 세포는 에너지를 보충하거나 원상회복이 되어 다음 일을 할 준 비를 한다. 근육에는 인체가 일반적인 활동을 하기에 충분한 수의 근육세포가 있어서 별다른 문제없이 지속적인 운동이나 작업이 가능하다.
그런데 과도한 운동이나 특정한 부위에 무리한 반복작업을 하게되면, 일을 한 후 미처 회복도지 못한 세포 수가 증가하여 근육은 피로한 상태가 된다. 이러 한 상태에서도 지속적인 일을 하게되면 점점 많은 근육세포가 파괴되며, 새로 운 세포를 재생하는 속도보다 파괴되는 속도가 더 빨라진다. 이러한 상태가 장 기간 동안 지속되면 결과적으로 근육세포의 상당수가 파괴된 상태가 되어 근육 이 더 이상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3.근골격계 질환의 종류
긴장(strain) : 관절이 강제적으로 정상운동범위를 넘어서 긴장된 근육, 인대 및 건 부착주가 최대로 밀리거나 당겨진 것이다. 흔히 무거운 것을 들거 나 외부의 힘을 받을 때 생긴다. 긴장의 증상은 수일에서 일주일 내에 해소된 다.
염좌(sprain) : 염좌는 인대가 너무 팽팽히 당겨진 결과로 인대 내 섬유소 의 일부 혹은 부착부위가 찢어지는 손상이다. 흔히 삐었다고 표현
건염(tendonitis) : 건염은 건(힘줄, 인대)의 염증으로 건(tendon)은 뼈와 근육을 연결하는 것으로 근육이 뼈에 부착하는 부위를 말한다. 주로 퇴행성 변 화나 경미한 외상으로 건이 경미하게 손상된 경우, 그리고 건 자체에 원인 미상 의 염증성 반응이 발생한 경우 등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데, 건염과 건을 싸 고 있는 건막의 염증은 정확히 구분하기 어렵다.
건초(건막,tendon sheath) :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질긴 막성의 집으로 칼 집모양, 즉 초상을 하고 있어 건초라 함.
건활막염(건막염, tenosynovitis) : 건초의 염증.
점액낭염(bursitis) : 점액낭 부위에 생기는 염증. 흔히 발생하는 부분은 어깨이며 견봉하 점액낭염(subacrhmial bursa)이라고 한다.
점액낭(활액낭) : 근육 및 건이 뼈에 부착되어 있는 사이의 작은 주머니, 그 속에 미끈 미끈한 활액이 가득 차여 있어 근츅의 마찰을 적게 하여 근 육이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함.
근염(mositis) : 근육의 염증, 염증은 다발성 근염과 같이 일차적이거나 근육이 과도하게 팽창되었을 때처럼 기계적 손상이 2차적으로 생긴다.
관절염(arthritis) : 관절이 염증상태이거나 비정상적인 상태
근막 :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근육을 싸고 있는 섬유성의 강한 막, 근육이 지나치게 수축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작용.
부위별 근골격계 질환
1) 손, 손목부위의 근골격계 질환
수완진동 증후군
손과 팔의 진동폭로는 체인식 통, 착암기, 그라인더, 공기주입식 헤 머 등을 많이 사용할 때 손이나 팔의 혈관이 손상이 되어 감각기능이 떨어지거 나 약력의 감소, 저린 느낌 등이 생기는데 특히 기온이 떨어지는 계절에는 증상 이 심해짐
보통 6~8년 근무자에게서 혈관장애가 시작
감각이상 증상은 처음에는 추위와 관련이 있으나 차츰 고정화되어 실내나 보호된 여건 하에서는 인지가 어렵게 됨
수근관증후군(capal tunnel syndrome)
수근관은 손목관절부에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
손목관절을 반복적으로 움직여 이것을 둘러싼 인대가 붓거나 두꺼워져
이 수근관을 지나는 신경을 압박. 손의 힘이 빠진다든가 정중신경 분포 부위인
외측 셋째손가락에 감각이상 을 초래하며 통증으로 잠을 깨거나 아침에 잠을 깰 때 뚜렷
보통 4.5kg이사의 무게를 자주 다룰 때 자주 발생
수근골 : 손목부위 손의 8개 뼈
척골관 증후군(ulnar tunnel syndrome, canal of guyon)
손목의 전방 척충의 삼각형모양의 섬유골성 관에서 척골신경이 압박
손목의 전방 척측에 있는, 삼각형 모양의 섬유골성 관내에서, 척골 신경이 압박을 받아 나타남(길이 1.5cm)
목공실 근무자나 중장비 수리공과 같이 둑탁한 연장을 쥐고 반복적으로 손 바닥 부위에 자극이 가는 직종
4,5 수지에 감각이상이나 통증을 주로 호소하는데 수근관 증후군에 비해 발생빈도가 훨씬 적음
척골 ; 전골의 안쪽 장골(팔뚝,새끼 손가락쪽)
망치질 같은 반복적인 둔탁한 충격에 의한 외상, 척골관 내에 결절종이나, 지방종, 제4,5 중수골 근위부 골절, 척골 동맥의 동맥류, 혈전 등이 척골 신경 을 압박하여 나타남
손목건염(De Quervain’s disease)
손목을 지나는 건의 염증으로 통증 유발
가장 흔한 증상은 전완의 엄지 쪽에 발생하는 통증이며 진행되면 전완 및 손목과 엄지로 통증이 뻗치게 됨.
손목의 엄지 손가락 부위를 만지면 압통을 호소, 좁쌀크기의 덩어리가 건 부위에서 만져지기도 함.
방아쇠 손가락(trigger finger)
중수지(손바닥 뼈) 관절 전방에서 수지굴근의 건이 비대되거나 건초가 협 착된 경우에 발생
수지의 신전이 불완전하여 외력으로 손가락을 밀어야만 손가락이 펴 지거 나 염발음이 나면서
신전 또는 굴곡이 된 상태
장시간 손에 쥐는 작업, 반복적인 손바닥에의 마찰에 의해 발생
일반적으로 통증은 유발하지 않으나, 부분적으로 압통점을 발생할 수 있음
여러 수지(손가락)에 발생하였을 때는 류마토이드 관절염 의심
결절종(ganglion)
두드러기게 감지되는 증상은 없고, 신경이나 혈관을 누르면 동통이나 근 력 약화 등이 나타날 수 있음
발생부위 : 손목의 후방, 총 수지 신건의 바로 요골측(엄지쪽), 손목의 수장 측에 요 수근 굴건과 장 무지 외전건 사이
원인 불명
2) 팔, 팔목부위의 근골격계질환
외상과염(tennis elbow)
작업 중 손에 연장이나 충격물을 쥐고서 전완을 주주 회내, 회외 동작을 반복하면 전완의 총상근의 가시부인 상완골의 외과부위에 손상이 가서 주관절 의 외측에 통증을 호소
주먹을 쥔다든지 손목관절을 능동적으로 후방 굴곡시키면 심해짐.
용접사, 취부사, 스프레이 도장작업자 등은 전완의 화내, 화외 동작을 특 히 많이 하기 때문에 발생위험도가 높을 것으로 추정
다인성, 총 신근의 기시부에 발생한 건의 avulsion injury, 근육의 기시부 와 골 또는 피부 사이에 존재하는 작은 점액낭의 염증 등이 원인
상완골 내상과염 : 통증부위가 상완골의 내과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이 는 팔목의 반복동작으로 인해 주관절의 내측 인대 가시부나 원회내근(팔꿈치 아래)의 시작부가 손상
내상과염(golfer’s elbow)
통증부위가 상완골의 내과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이는 팔목의 반복동작 으로 인해 주관절의 내측 인대 가시부나 원회내근(팔꿈치 아래)의 시작부가 손상
상완골의 내 상과에 국소 압통, 굴곡과 회내전근에 긴장을 주면 주관절 내 측에 동통이 유발
척골간 신경 증후군 및 원회내근 증후군
정중신경의 한 분지가 전완의 중간 부위에서 손상이 된 경우 팔목관절을 반복 사용하거나 회내동작을 많이 할 때 발생
전완부 통증과 함께 손가락으로 집는 힘이 약해짐 발생위치에 따라 전골간 신경증후군 또는 원회내근 증후군으로 구분
요골관 증후군
요골부에서 회외근까지 사이에서 발생하는 요골신경의 압박병변을 의 미
상완골외과염과 비슷한 증상을 보여 구분이 힘드나 이 질환은 원위부의 신 전근을 강하게 촉진시 통증을 발생
요골 : 전골의 바깥쪽 장골(팔뚝)
3) 어깨 부위의 근골격계 질환
어깨 건막염(건초염)
작업 중 어깨 관절을 신전, 굴곡, 외전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어깨 주위 에 분포하는 극상근을 포함한 회전근개, 이두근 등의 인대의 퇴행성 변화가 생 겨서 어깨 운동시 심한 통증, 운동의 제한, 근육이 뼈에 붙는 부위 압통
운동의 제한 : 어깨의 회전 및 외전이 제한건이 지나가는 길이 좁아지거나 건 자체가 비후 협착성 건막염을 야기
용접사, 취부사, 도장공, 조립라인 근로자 : 하루에 1시간 이상 어깨 높이, 또는 그 이상으로 손을 들고 일하거나 어깨관절을 60˚이상의 각도로 굴곡 및 외 전 동작을 하루 1,000번 이상 반복작업
퇴행성 변화가 온 건에 칼슘이 과다 침착되면 견봉하점액낭염을로 발전
견관절 충돌증후군
올리는 동작을 할 때 상완골의 대결절이 견봉과 오구견봉 인대 및
견봉쇄 골 관절 하면과 마찰이 생겨서 통증
처음에는 부종과 출혈로 인해 발생되나 점차 극상건의 섬유화 및
퇴행성 변화로 극상건의 파열을 초래 정기적 치료를 요함
주관절을 신전한 상태에서 견관절을 굴곡 시키거나 견관절을
90˚굴곡한 상태에서 내회전시 어깨에 통증
팔을 올리는 동작을 많이 하는 어떠한 직종에서도 옴
회전근개 건염
작업 중 어깨 관절을 신전, 굴곡, 외전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어깨 주위에 분포하는 극상근을 포함한 회전근개의 인대의 퇴행성 변화가 생겨서 어깨운동 시 심한 통증, 운동의 제한 및 근육이 뼈에 붙는 부위의 압통 등을 호소한다. 야 간 통증이 특징
운동의 제한은 특히 어개의 회전 및 외전이 제한되나 수동적 관절운동은 정상이며, 능동적 관절운동은 제한(유착성견관절염과 차이), 외전을 할 때 특 정적 움추림 보임.
대부분의 경우 견관절 전방 탈구나 갑자기 무거운 물건을 옴기는 동작 중 외상에 의해 발생되나 과다한 노동으로 퇴행성 변화가 온 경우는 경미한 외상 에도 파열.
회전근개는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으로 구성되며, 상완골두 주 위의 덮개를 형성하며 팔을 회전 시키고 관절내에서 상완골두를 안정시키는 역 할.
유착성견관절염(오십견)
동결견이라 하기도 하며 서서히 수동적 능동적 결관절 운동상실.
독립된 질환이 아니라 원발성 질환의 악화 또는 말기 중상의 관절 강진현 상.
선행질환은 근상근건염, 회전근개 파열, 상완 이두근 건염, 수술이나 외상 으로 인한 어깨의 고정.
견관절 운동제한과 손가락 강직 호소, 기도하는 자셀르 못함.
흉곽 탈출 증후군
어깨에 있는 상완신경총과 쇄골하동맥이 경충에서 상지 쪽으로 지나가는 길목에서 여러 가지 해부학적 구주물에 의해 신경 및 혈관의 압박.
주로 팔이나 손으로 방사통이 있으면서 어깨나 목에 통증을 호소하는데 몇 가지 이학적 검사에서 특징적인 통증.
진동기구 사용자나 반복적으로 상자를 사용할 때 자주 발생
견봉하 점액낭염(충돌 증후군, subacromial bursitis)
견봉하 점액낭은 삼각근하 점액낭과 분리되는 것이 보통이나 서로 합쳐져 있다. 이 두 점액낭은 겹봉, 삼각근, 대결절 사이에 존재하여, 이들을 분리하 고 마찰을 적게 한다. 이 점액낭의 만성적 비후, 만성적 염증을 유발. 외전, 내회전 시 통증, 야간통이 심함.
상완골 대결절에 압통,
상완이두 건막염(bicipital tenosynovitis)
이두근의 장두는 견관절 내에서 횡 인대로 덮인 이두근 구를 통과, 이 부위 에 염증성 질환이 있는 경우에 유발
40대 초반 여성에서 주로 발병.
통증은 서서히 시작하지만 삽질이나 운동 선수들이 공을 던질 때, 견관절 의 아탈구 시 갑자기 통증이 심하게 느껴질 수 있음.
상완 이두근 구에서의 직접적인 압통.
극상근 건염(supraspinatus tendonitis)
견관절 자체의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극상근은 팔을 외전시킬 때 처음 30도를 올리는 근육
계속적인 외상과 기계적인 자극, 불충분한 회복, 극상근의 조기 마모와 국 소허혈, 염증성 반응과 석회화, 연령증가로 점액낭의 보호가 약해져, 회전근개 의 퇴행성 변화.
상지 외전시 극상근이 상완골 대결절과 견봉사이에 끼임
4)목, 견갑골 부위의 근골격계질환
경추자세 증후군(거북목증후군, tension neck syndrome, cervical postural syndrome)
머리가 앞으로 쭉 빠지는 꾸부정한 자세로 상부 경추 전만의 증가와 턱을 앞으로 내밀고 있는 나쁜 자세
어깨가 축 늘어지고 흉추 후만, 대흉근 긴장, 견관절 운동 제한됨
컴퓨터 사용자가 모니터 등을 보기 위해 머리를 내미는 동작이 장시간 동 안 유지 되면서 척추의 변형이 발생
상부 경추 신전근과 승모근 주위, 어깨, 목, 귀, 후두부의 통증이 유발, 지 속적 자세 이상에 의하여 악화되며, 두통을 동반
경추 : 목뼈의 7개
5) 기타
수완진동 증후군(hand-arm vibration syndrome : HAVS)
장기간의 진동에 의한 혈관반응
촉각의 양적저하(수지말단), 신경전도의 이상
근막통증후군 (Myofascial Pain Syndrome : MPS)
근막통 증후군은 근육의 일부가 밷드같이 수축되면서 발생.
근육 일부의 기능이 감소하면서 운동능력의 감소를 보이며 관절운동에 제 한이 발생
교감신경계(땀분비 증가, 피부변성 등), 뇌신경 영역(현기증, 시력장해, 청 력감퇴), 내장기능(심장, 장기능)에도 영향을 미친다.
원인은 스트레스와 긴장, 수면장애 및 피로, 신경장애(디스크가 신경을 누 를 때), 반복적인 미세외상(잘못된 자세), 한 자세 반복 작업, 부동화, 근육의 긴장, 외상, 전신적 영향( 내분비 장애, 영양결핍), 근력 약화(전시적인 근력감 퇴, 근력약화)
'지금 안전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뇌심혈관질환 예방 에 대하여 (0) | 2021.12.24 |
---|---|
32.근로자의 건강진단에 대하여 (0) | 2021.12.24 |
30. 근골격계 질환예방 작업방법은? (0) | 2021.12.24 |
29. 교대근무자 건강관리 및 안전한근무에 대하여 (0) | 2021.12.24 |
28.겨울철 미끄러짐 사고예방 (0) | 2021.12.24 |